엔지니어링이란?
엔지니어링은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 지식을 바탕으로, 기획, 조사, 설계, 시험, 사업관리, 기술자문 등의 기술 서비스를 수행하여 제품, 시스템, 시설물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전문 기술 활동이다.
어원 정의
- 엔지니어링(Engineering)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ingenium(무언가를 창조하는 능력)에서 유래되었으며, 중세 영어 엔지니어(engineer)는 원래 군사 장비(공성무기, 투석기 등)를 다루는 기술자를 뜻했다.
- 현대에 들어서는 문명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전문가적 활동 전반을 의미하게 되었다.
학문적 성격
- 엔지니어링은 과학의 지식을 실용적으로 적용하여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응용학문이다.
- 공학은 자연과학뿐 아니라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요소도 일부 포함하며, 기술적 유효성뿐 아니라 인간적 가치, 디자인, 미학적 판단 등도 함께 고려한다.
공학과 엔지니어링의 관계
-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공학과 엔지니어링을 혼용하나, 학문적 맥락에서는 공학(Engineering)은 엔지니어링 활동 전반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학문 분야를 뜻하기도 한다.
- 공학은 교육·연구 중심이고, 엔지니어링은 실행·산업 중심의 실무적 개념으로 쓰이기도 한다.
기타 정의의 확장
- 현대 사회에서는 엔지니어링의 영역이 금융, 경영, 예술, 교육, 의료 등 비전통적 분야까지 확장되고 있다. 금융공학, 경영공학, 교육공학, 바이오메디컬공학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이러한 확장은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엔지니어링의 성격과 일치한다.
기본 정의
엔지니어링은 설계·분석·시험·사업관리 등 기술 서비스를 통해 제품, 시스템, 시설물을 개발하거나 개선하는 활동이다.
법적 정의
-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제2조 제1호에 따르면, 엔지니어링은 기획, 타당성 조사, 조사, 측량, 설계, 분석, 시험, 감리, 사업관리, 기술자문 등의 활동을 수행하는 산업 또는 서비스이다.
- 「'''건설기술진흥법'''」 제2조 제1호에 따르면, 엔지니어링은 기획, 조사, 설계, 사업관리, 시공관리, 감리 등 건설공사 관련 기술 서비스 활동이다.
두 법령 모두 설계·사업관리를 포함하지만,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이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담고 있다.
산업 분류 정의
-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엔지니어링은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M) 내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으로 분류되며, 이는 각종 플랜트, 공장, 인프라의 설계 및 기술 자문 등을 포함한다.
기능적 정의
엔지니어링은 아래와 같은 업무 범위를 포함한다.
- 기획 및 타당성조사
- 조사 및 측량
- 기본 및 상세설계
- 사업관리 (PM/CM)
- 감리
- 기술자문 및 연구개발
국제 기준 정의
FIDIC은 엔지니어링을 공공 및 민간 부문에 기술적 조언을 제공하고, 설계 및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문 산업으로 정의한다. NSPE(미국)는 엔지니어링을 공공의 건강, 안전, 복지를 위한 과학적 원리의 실제 응용 활동으로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