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명령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 |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 ||
| 후원 = 국토교통부,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후원 = 국토교통부,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시행년도 = | | 시행년도 = 2022년 | ||
| 운영기관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 | 운영기관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 ||
| 수상부문 =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특별상 | | 수상부문 =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특별상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은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은 [[한국엔지니어링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엔지니어링공제조합]], [[조선일보]]가 후원하는 국내 대표 [[엔지니어링]] 분야 시상제도이다. 2022년 신설되었으며, 우수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와 인재를 발굴하여 그 가치를 널리 알리고 관련 종사자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정되었다. | ||
== 제정 배경 == | == 제정 배경 == |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산업은 1970년대 SOC 개발을 시작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해외 플랜트, 인프라,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경제에 기여해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산업 위상 제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엔지니어링 산업진흥법’에 기반하여 우수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시상하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산업은 1970년대 SOC 개발을 시작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해외 플랜트, 인프라,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경제에 기여해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산업 위상 제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엔지니어링 산업진흥법’에 기반하여 우수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시상하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 ||
== | == 공모 개요 == | ||
* ''' | * '''공모명''' 제3회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2024년) | ||
* ''' | * '''공모대상''' 공고 마감일 기준 1년 이상 5년 이내 준공된 시설물 또는 사업 중,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에 따른 엔지니어링 활동 수행 프로젝트 | ||
* ''' | * '''응모자격''' 엔지니어링사업자 신고를 필하고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회원자격을 보유한 기업 | ||
* ''' | * '''수상특전''' 전시지원, 홍보지원, 국제 시상 추천 등 | ||
== 심사 | == 심사 구성(2024) == | ||
=== 기술 심사위원단 === | |||
* | * '''위원장''' 김진근(KAIST 명예교수) | ||
* | * '''부위원장''' 류영창(대한건설진흥회 사무총장) | ||
* | * '''위원''' 인하대학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13명 | ||
* | |||
* | === 종합 심사위원단 === | ||
* '''위원장''' 권오경(한양대학교 석좌교수) | |||
* '''위원'''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8명 | |||
== 수상작 == | |||
=== '''[[2024년]]''' === | |||
* '''대상''' | |||
- [[우즈베키스탄 칸딤 가스처리시설]] – [[현대엔지니어링(주)]] | |||
* '''올해의 엔지니어상''' | |||
- 정익선 책임매니저 – [[현대엔지니어링(주)]] | |||
* '''우수상''' | |||
-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 – [[(주)도화엔지니어링]] | |||
- [[한빛 5,6호기 증기발생기 교체]]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
- [[울산비축기지 지하화 프로젝트]] – [[(주)삼안]] | |||
== 시상 효과 == | == 시상 효과 == |
2025년 7월 9일 (수) 07:09 판
2024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엠블럼 | |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
---|---|
후원 | 국토교통부,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제정년도 | 2022년 |
운영기관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
수상 부문 |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특별상 |
선정 기준 | 기술혁신성, 안전성, 품질, 지속가능성, 경제사회적 기여 등 |
웹사이트 | https://kengawards.kenca.or.kr/ |
개요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은 한국엔지니어링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엔지니어링공제조합, 조선일보가 후원하는 국내 대표 엔지니어링 분야 시상제도이다. 2022년 신설되었으며, 우수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와 인재를 발굴하여 그 가치를 널리 알리고 관련 종사자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정되었다.
제정 배경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산업은 1970년대 SOC 개발을 시작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해외 플랜트, 인프라,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 경제에 기여해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산업 위상 제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엔지니어링 산업진흥법’에 기반하여 우수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시상하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공모 개요
- 공모명 제3회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2024년)
- 공모대상 공고 마감일 기준 1년 이상 5년 이내 준공된 시설물 또는 사업 중,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에 따른 엔지니어링 활동 수행 프로젝트
- 응모자격 엔지니어링사업자 신고를 필하고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회원자격을 보유한 기업
- 수상특전 전시지원, 홍보지원, 국제 시상 추천 등
심사 구성(2024)
기술 심사위원단
- 위원장 김진근(KAIST 명예교수)
- 부위원장 류영창(대한건설진흥회 사무총장)
- 위원 인하대학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13명
종합 심사위원단
- 위원장 권오경(한양대학교 석좌교수)
- 위원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8명
수상작
2024년
- 대상
- 우즈베키스탄 칸딤 가스처리시설 – 현대엔지니어링(주)
- 올해의 엔지니어상
- 정익선 책임매니저 – 현대엔지니어링(주)
- 우수상
-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 – (주)도화엔지니어링 - 한빛 5,6호기 증기발생기 교체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울산비축기지 지하화 프로젝트 – (주)삼안
시상 효과
수상작은 정부 공식 인증을 부여받으며, 관련 기관·기업·지자체 등에 널리 홍보된다. 또한 엔지니어링 기술력에 대한 대내외 신뢰 제고와 함께 해외 수주 확대, 우수 인재 유치, 기업 이미지 제고 등 실질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역대 주요 수상작
- 2024년 대상 – 현대엔지니어링㈜ 「우즈베키스탄 칸딤 가스처리시설」
- 2023년 대상 – (주)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
- 2022년 대상 – (주)건화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