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명령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
||
69번째 줄: | 69번째 줄: | ||
건화는 'Kunhwa 2030' 전략 아래 수주 다각화, EPCM사업 확대, 해외비중 강화, 스마트 설계 기술 상용화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인프라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건화는 'Kunhwa 2030' 전략 아래 수주 다각화, EPCM사업 확대, 해외비중 강화, 스마트 설계 기술 상용화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인프라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
[[Category:엔지니어링 기업]] | [[Category:엔지니어링 기업|{{PAGENAME:㈜ 제거}}]] |
2025년 8월 6일 (수) 04:36 판
![]() | |
설립 | 1990년 11월 21일 |
---|---|
전신 | 건화엔지니어링 |
창업주 | 최용철 |
대표 | 최재원 |
업종 |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
기업 분류 | 중견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상장 시장 | 해당없음 |
시가총액 | 해당없음 |
매출액 | 3,138억원 (2024년 12월) |
영업이익 | 138억원 (2024년 12월) |
자본금 | 25억원 |
자산 총액 | 3,472억원 (2024년 12월) |
직원 | 1,054명 (2024년 말 기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201 (문정동) |
웹사이트 | https://www.kunhwaeng.co.kr |
기업 개요
(주)건화는 199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이다. 상하수도, 도시 및 단지개발, 에너지 플랜트, 도로 및 교통 인프라, 건설사업관리 등 인프라 기반 전반에 걸쳐 기획·설계·감리·사업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AI 기반 설계 자동화, BIM 기술 등 스마트 건설기술 R&D에도 집중하고 있다.
연혁
- 1990.11.21 건화엔지니어링 설립
- 1994 (주)건화로 법인 전환
- 2000~2010년대 해외사업 본격화 (이라크, 베트남, 캄보디아 등)
- 2020 Kunhwa 2030 비전 수립
- 2022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수상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주요 사업 분야
상하수도 및 수자원
- 수도권 광역상수도 6단계, 하남 유니온시티, 이라크 비스마야 등
도시 및 국토개발
- 목짜우(베트남), 씨엠립(캄보디아), 산토도밍고(에콰도르) 등
플랜트 및 에너지 환경
- 솔라시도 태양광, 사룰라 지열, 원주 열병합, 햇빛누리 태양광 등
교통 인프라
- 경부고속도로 비룡JCT, 청라~영종 제3연륙교, SRT, 대구도시철도3호선 등
건설사업관리(CM)
- 인천대교, 거가대교, 청담대교, 삼성~동탄 GTX, 평창슬라이딩센터 등
R&D 및 디지털 기술
- 스마트 설계, BIM 기술, 디지털 트윈, AI 기반 자동화, 설계 알고리즘 등
특징 및 위상
- EPCM 기반 해외사업 지속 확대
- Kunhwa 2030 전략 수립 – 수주 1조원, 글로벌 50위 진입 목표
- ICT 기반 플랫폼, Smart Work 체계 구축
- R&D센터 중심의 디지털 건설기술 선도
대표 프로젝트 실적
- 인도네시아 사룰라 지열발전소
- 전라남도 솔라시도 태양광
-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 서울~세종 고속도로, 화도~양평 고속도로
- 메콩 델타 도로망 확충 (베트남)
- 방글라데시 파이라항만 감리
- 청계천 복원사업, 수도권 매립지 기반시설,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CI 및 철학
CI는 2030년까지 ‘글로벌 50위권 엔지니어링 기업’이라는 목표를 시각화한 것으로, 역동성, 통합성, 글로벌 스탠더드를 상징한다. 경영철학으로는 사람중심의 가치경영, 송무백열 정신, 조직 자율성과 역동성, 기술혁신의 대변화를 표방하고 있다.
기타
건화는 'Kunhwa 2030' 전략 아래 수주 다각화, EPCM사업 확대, 해외비중 강화, 스마트 설계 기술 상용화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인프라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