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명령
새 문서: {{BridgeInfobox | 이름 = 차나칼레 1915 대교 | 사진 =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PM&CE).png | 사진설명 = 개통 직후인 2022년 3월 27일 모습 | 국가 = 튀르키예 | 위치 = 다르다넬스 해협 (차나칼레 ↔ 겔리볼루) | 착공일 = 2017년 3월 18일 | 준공일 = 2022년 3월 18일 | 총연장 = 4,608m | 주경간 = 2,023m | 주탑높이 = 334m | 구조형식 = 현수교 | 발주처 = 튀르키예 교통인프라부 도로청(KGM)...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Bridgeinfobox | ||
| 이름 = [[차나칼레 1915 대교]] | | 이름 = [[차나칼레 1915 대교]] | ||
| 사진 =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PM&CE).png | | 사진 =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PM&CE).png |
2025년 7월 10일 (목) 05:18 판
![]() | |
개통 직후인 2022년 3월 27일 모습 | |
국가 | 튀르키예 |
---|---|
위치 | 다르다넬스 해협 (차나칼레 ↔ 겔리볼루) |
착공일 | 2017년 3월 18일 |
준공일 | 2022년 3월 18일 |
총연장 | 4,608m |
주경간 | 2,023m |
주탑 높이 | 334m |
구조 형식 | 현수교 |
발주처 | 튀르키예 교통인프라부 도로청(KGM) |
시공사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SK에코플랜트 |
주요 자재 | 포스코 철강 전량 공급 |
수상 내역 | 2024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대상 |
개요
차나칼레 1915 대교(1915 Çanakkale Köprüsü)는 튀르키예 다르다넬스 해협을 횡단하는 세계 최장 주경간(2,023m)의 현수교로, 디엘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가 시공을 맡았다. 총 연장은 약 4.6km이며, 주탑 높이는 334m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현수교 주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기술진이 EPC + Financing 전 과정을 주도한 대표적 해외 인프라 수출 사례로, 2022년 3월 18일 개통되었다.
개발 배경 및 목적
-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교통망 구축
- 다르다넬스 해협 교통 혼잡 해소 및 해상 운송 대체
- 마르마라 해 순환도로 완성
- 한국형 장대교량 기술력의 해외 수출 확대
주요 특징
- 세계 최장 주경간 현수교
주탑 간 간격 2,023m로, 기존 1위 일본 아카시 해협 대교(1,991m)를 넘어서 세계 기록 보유
- 초고난도 시공 환경
강풍·지진 등의 지질 조건, 코로나 팬데믹 중 시공, Fast Track 방식 설계·시공 병행
- 공기 단축 성과
당초 목표 대비 1년 7개월 조기 준공. 약 17,000명의 인력 투입
- 완공 후 효과
해협 횡단 시간 60분 → 6~10분으로 단축. 관광·물류 등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대한민국 토목·교량 엔지니어링 기술의 세계시장 입증
- EPC 전 과정 주도 + 포스코 철강 자재 활용 → 통합 수출 모델
- 초장대 해상교량 설계·시공 및 금융 조달까지 국내 주도형 해외사업 모델 완성
사건사고
- 중국 외교관 가짜뉴스 유포
2023년 튀르키예 지진 당시, 중국 외교관들이 해당 교량을 ‘중국이 시공했다’고 주장했으나 실제 시공사는 한국 기업임
- 하도급 대금 미지급 논란
2022~2023년 국내 중소 하도급 업체에 대한 대금 미지급 문제가 불거졌으며, 국정감사에까지 회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