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1번째 줄: 31번째 줄:


== 시공 특징 ==
== 시공 특징 ==
* '''공법''': [[침매터널]] 공법 (국내 최초 도입)
* '''공법''' [[침매터널]] 공법 (국내 최초 도입)
* '''시공사''': 대우건설 컨소시엄
* '''시공사''' 대우건설 컨소시엄
* '''최대 수심''': 약 48m
* '''최대 수심''' 약 48m
* '''단면 형상''': 2차로 × 2개 차선, 총 4차로
* '''단면 형상''' 2차로 × 2개 차선, 총 4차로
* '''총 함체 수''': 18개
* '''총 함체 수''' 18개
* '''내진 설계''': 차량 화재 및 지진 대비 설계 적용
* '''내진 설계''' 차량 화재 및 지진 대비 설계 적용
* '''부산항 해상 교통 최소화''': 해상 우회 항로 적용
* '''부산항 해상 교통 최소화''' 해상 우회 항로 적용


== 의의 ==
== 의의 ==
45번째 줄: 45번째 줄:
* [[침매터널]]
* [[침매터널]]
* [[사장교]]
* [[사장교]]
* [[국도 제58호선]]
* [[해저터널]]
* [[한국의 교량 목록]]


[[분류:교량]]
[[분류:교량]]
[[분류:부산광역시의 교통]]
[[분류:거제시]]
[[분류:침매터널]]
[[분류:침매터널]]
[[분류:2010년 완공된 교량]]

2025년 7월 14일 (월) 05:46 기준 최신판

거가대교
거가대교 전경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가동
착공일 2004년 12월
준공일 2010년 12월
총연장 8,200m
주경간 475m (사장교 중앙경간 기준)
주탑 높이 156m
구조 형식 침매터널 + 사장교 + 접속도로 (복합 해상교량)
설계사 다산컨설턴트, 도화엔지니어링
발주처 한국도로공사
시공사 대우건설, 현대건설, 삼성물산, GS건설
주요 자재 대형 침매함(콘크리트 세그먼트), 강교 및 케이블, 접속도 콘크리트 구조 등
수상 내역 2012년 대한민국 토목건축 기술대상 대상


개요

거가대교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가덕도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8.2km의 도로시설물로, 도로명은 국도 제58호선에 속한다. 이 교량은 해저터널과 사장교, 접속교를 복합적으로 구성한 구조물이며, 국내 최초로 침매터널 공법이 적용된 해저터널을 포함하고 있다.

구성

  • 총 연장 약 8.2km
  • 구성 요소 가덕도 방면 사장교 (1.7km), 침매터널 (3.7km), 접속교 (2.8km)
  • 설계 속도 80km/h
  • 개통일 2010년 12월

침매터널

거가대교 해저터널은 국내 최초의 침매터널로, 수심 최대 48m의 외해 구간에 시공되었다. 총 18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함체(Immersed Tunnel Elements)를 육상에서 제작한 후, 바다에 가라앉혀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었다. 이 해저터널은 총 연장 약 3.7km이며, 수중 연결부에는 수밀 및 내진 설계가 적용되었다.

시공 특징

  • 공법 침매터널 공법 (국내 최초 도입)
  • 시공사 대우건설 컨소시엄
  • 최대 수심 약 48m
  • 단면 형상 2차로 × 2개 차선, 총 4차로
  • 총 함체 수 18개
  • 내진 설계 차량 화재 및 지진 대비 설계 적용
  • 부산항 해상 교통 최소화 해상 우회 항로 적용

의의

거가대교는 국내 해저터널 기술 발전의 이정표로 평가받으며, 고난도 시공 기술이 요구되는 침매터널의 설계 및 시공 기술 국산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특히, 외해 시공의 기술적 난이도와 내진 성능 확보를 통해 국내 토목기술의 수준을 국제적으로 입증하였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