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 구조 및 특징 ==
== 구조 및 특징 ==
사장교는 크게 다음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사장교는 크게 다음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주탑''': 교량의 중심 구조물로, 케이블을 고정하고 상판 하중을 지지
* '''주탑''' 교량의 중심 구조물로, 케이블을 고정하고 상판 하중을 지지
* '''경사 케이블''' 주탑과 상판을 직접 연결하며, 하중을 주탑에 분산시킴
* '''경사 케이블''' 주탑과 상판을 직접 연결하며, 하중을 주탑에 분산시킴


상판은 압축력을 받아 강성이 높고, 교각 간 거리를 줄일 수 있어 '''하천, 해협, 만 등''' 교각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서 유리하다.
상판은 압축력을 받아 강성이 높고, 교각 간 거리를 줄일 수 있어 '''하천, 해협, 만 등''' 교각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서 유리하다.


현수교와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현수교와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현수교''' 주 케이블을 늘어뜨리고 수직 케이블로 상판을 지지
* '''현수교''' 주 케이블을 늘어뜨리고 수직 케이블로 상판을 지지
* '''사장교''' 주탑에서 상판으로 직접 케이블 연결 → 보다 직접적 지지 구조
* '''사장교''' 주탑에서 상판으로 직접 케이블 연결 → 보다 직접적 지지 구조
31번째 줄: 31번째 줄:


== 최신 기술 ==
== 최신 기술 ==
사장교 기술은 구조적 효율성과 재료 기술의 발전으로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 최근 적용된 기술 사례는 다음과 같다:
사장교 기술은 구조적 효율성과 재료 기술의 발전으로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 최근 적용된 기술 사례는 다음과 같다.


* '''UHPC 사장교'''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를 적용해 내구성과 경량화 모두 달성. [[고덕대교]], [[춘천대교]] 등이 대표적
* '''UHPC 사장교'''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를 적용해 내구성과 경량화 모두 달성. [[고덕대교]], [[춘천대교]] 등이 대표적
42번째 줄: 42번째 줄:
== 국가별 사장교 목록 ==
== 국가별 사장교 목록 ==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
* [[천사대교]]
* [[서해대교]]
* [[서해대교]]
* [[인천대교]]
* [[인천대교]]
60번째 줄: 61번째 줄:
* [[교량 형식]]
* [[교량 형식]]


[[분류:사장교]]
 
[[Category:엔지니어링 용어]]

2025년 8월 6일 (수) 02:29 기준 최신판

천사대교
서해대교
인천대교
부산항대교
고덕토평대교

사장교

사장교(斜張橋)는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을 주탑에서 직접 연결된 경사 케이블로 지지하는 형식의 교량이다. 상판을 주탑에 비스듬하게 케이블로 연결한 구조로, 현수교와 달리 주 케이블 없이 직접 지지하는 방식이다.

현수교에 비해 강성이 높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편이며, 보통 경간이 200~1000m 사이인 경우에 경제적인 선택지로 평가된다. 경간 1km 이상에서는 현수교가 더 유리하지만, 공사 기간, 시공 난이도, 보수 측면에서 사장교가 현수교보다 유리해 세계 주요 해협 및 수로 횡단 교량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는 구조다.

대표적인 사장교로는 천사대교, 서해대교, 인천대교, 부산항대교, 진도대교, 고덕대교 등이 있다.

구조 및 특징

사장교는 크게 다음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주탑 교량의 중심 구조물로, 케이블을 고정하고 상판 하중을 지지
  • 경사 케이블 주탑과 상판을 직접 연결하며, 하중을 주탑에 분산시킴

상판은 압축력을 받아 강성이 높고, 교각 간 거리를 줄일 수 있어 하천, 해협, 만 등 교각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서 유리하다.

현수교와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현수교 주 케이블을 늘어뜨리고 수직 케이블로 상판을 지지
  • 사장교 주탑에서 상판으로 직접 케이블 연결 → 보다 직접적 지지 구조

경간 길이 및 경제성

  • 200m 이하 거더교, 라멘교 등 일반 교량이 더 경제적
  • 200~400m 사장교가 가장 경제적인 구조
  • 400~1000m 사장교와 현수교의 경제성이 경쟁
  • 1000m 이상 현수교 우위 (그러나 유지·보수 측면에서 사장교 채택 가능)

최신 기술

사장교 기술은 구조적 효율성과 재료 기술의 발전으로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 최근 적용된 기술 사례는 다음과 같다.

  • UHPC 사장교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를 적용해 내구성과 경량화 모두 달성. 고덕대교, 춘천대교 등이 대표적
  • 인장형 사장교 기존 사장교에 현수교식 앵커리지를 접목해 주경간 1800m 이상도 가능한 구조. GS건설이 개발

사고 사례

  • 1992년 행주대교 사고 사장교 형식으로 시공 중 상판 붕괴
  • 2016년 칠산대교 사고 상판 구조물의 편하중 기울기 발생

국가별 사장교 목록

대한민국

같이 보기

틀:위키공용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