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총연장 = 7,260m
| 총연장 = 7,260m
| 주경간 = 650m (현수교 중앙경간 기준)
| 주경간 = 650m (현수교 중앙경간 기준)
| 주탑높이 = 195m (사장교), 161m (현수교)
| 주탑높이 = 195m [[사장교]], 161m [[현수교]]
| 구조형식 = 사장교 + 3주탑 현수교 + 거더교 (복합 해상교량)
| 구조형식 = 사장교 + 3주탑 현수교 + 거더교 (복합 해상교량)
| 발주처 =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설계사 = 1공구(고저주탑 복합사장교) : (주)수성엔지니어링
2공구(다경간 현수교) : [[(주)다산컨설턴트]]
| 발주처 =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시공사 = 대림산업 컨소시엄(디엘이앤씨(주)), 대우건설 컨소시엄
| 시공사 = 대림산업 컨소시엄(디엘이앤씨(주)), 대우건설 컨소시엄
| 자재 = 고강도 케이블, 고성능 강재, 콘크리트 새들 등 국내 R&D 핵심기술 적용
| 자재 = 고강도 케이블, 고성능 강재, 콘크리트 새들 등 국내 R&D 핵심기술 적용
20번째 줄: 22번째 줄:
'''천사대교'''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과 암태면을 연결하는 총 연장 7.26km의 해상 연도교로, 신안군의 '다이아몬드 제도'라 불리는 주요 섬 지역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초장대 교량이다.
'''천사대교'''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과 암태면을 연결하는 총 연장 7.26km의 해상 연도교로, 신안군의 '다이아몬드 제도'라 불리는 주요 섬 지역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초장대 교량이다.


이 교량은 국도 제2호선의 일부로 2010년 9월 착공되어 2019년 4월 개통되었으며, 완공 이후 신안군 일대의 24시간 육지 연결을 실현하여 주민의 정주여건 개선과 관광·물류 여건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교량은 '''국도 제2호선의 일부로 2010년 7월 착공되어 2019년 4월 개통'''되었으며, 완공 이후 신안군 일대의 24시간 육지 연결을 실현하여 주민의 정주여건 개선과 관광·물류 여건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천사대교는 '''3주탑 4경간을 적용하여 중앙경간의 길이가 2,650m인 세계 최초 다경간 해상 현수교'''로서, 1,000년 빈도의 태풍에도 안전하고, 고강도 케이블, 고성능 강재, 콘크리트 새들 등 국가 R&D사업으로 개발된 케이블교량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하여 초장대교량 핵심기술 자립화에 이바지하였다.
 
천사대교의 다경간 해상 현수교는 '''국내에서 외국기술자의 자문 없이 100% 국내기술로 설계와 시공을 한 교량으로 고부가가치인 해상 장대교량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발전'''시켰으며 전세계 초장대교량 건설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술력과 브랜드 가치향상에 기여했다는 평이다.
 
== 연혁 ==
* '''2010년 7월''' 착공
* '''2018년 10월 1일''' 천사대교 명칭 확정
* '''2019년 4월 4일''' 정식 개통


== 구조 및 설계 ==
== 구조 및 설계 ==
* '''복합 교량 구조'''   
* '''복합 교량 구조'''   
'''암태도 측''' 주탑 높이 195m/135m, 주경간 510m, 총연장 1,004m의 2주탑 비대칭 사장교   
'''암태도 측''' 주탑 높이 195m/135m, 주경간 510m, 총연장 1,004m의 2주탑 비대칭 사장교   
 
'''압해도 측''' 주탑 높이 161m/151m, 주경간 650m, 총연장 1,750m의 3주탑 현수교   
'''압해도 측''' 주탑 높이 161m/151m, 주경간 650m, 총연장 1,750m의 3주탑 현수교   
'''양 구간''' 거더교로 연결되어 전체 7.26km의 복합 연도교를 구성
 
'''양 구간''' 거더교로 연결되어 전체 7.26km의 복합 연도교를 구성


* '''상징적 디자인 요소'''   
* '''상징적 디자인 요소'''   
'''사장교 주탑''' ▶◀ 모양 가로보 2개를 적용해 '다이아몬드 제도' 형상화 
'''현수교''' 3주탑 4경간 구성으로 W자형 케이블 라인 구성 (West / Wide / Wonderful)


'''사장교 주탑''' ▶◀ 모양 가로보 2개를 적용해 '다이아몬드 제도' 형상화  
* '''구조 형식'''
 
'''강상판강합성상형교'''(Steel Box girder Bridge with steel plate deck)
'''현수교''' 3주탑 4경간 구성으로 W자형 케이블 라인 구성 (West / Wide / Wonderful)
  '''프레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상형교'''(Prestressed Concret box girder Bridge)


==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50번째 줄: 61번째 줄:
==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 '''수상명''' : 우수상   
* '''수상명''' : 우수상   
* '''기업명''' : [[㈜다산컨설턴트]]   
* '''기업명''' : [[(주)다산컨설턴트]]   
* '''대표자''' : [[이해경 ]]
* '''대표자''' : 이해경
* '''발주처''' :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발주처''' :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준공일''' : 2019년 4월   
* '''준공일''' : 2019년 4월   
* '''현장소재지'''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면 송공리   
* '''현장소재지'''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면 송공리   

2025년 8월 6일 (수) 02:08 기준 최신판

천사대교
천사대교 전경
국가 대한민국
위치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 암태면
착공일 2010년 9월
준공일 2019년 4월
총연장 7,260m
주경간 650m (현수교 중앙경간 기준)
주탑 높이 195m 사장교, 161m 현수교
구조 형식 사장교 + 3주탑 현수교 + 거더교 (복합 해상교량)
설계사 1공구(고저주탑 복합사장교) : (주)수성엔지니어링

2공구(다경간 현수교) : (주)다산컨설턴트

발주처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시공사 대림산업 컨소시엄(디엘이앤씨(주)), 대우건설 컨소시엄
주요 자재 고강도 케이블, 고성능 강재, 콘크리트 새들 등 국내 R&D 핵심기술 적용
수상 내역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우수상


개요

천사대교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과 암태면을 연결하는 총 연장 7.26km의 해상 연도교로, 신안군의 '다이아몬드 제도'라 불리는 주요 섬 지역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초장대 교량이다.

이 교량은 국도 제2호선의 일부로 2010년 7월 착공되어 2019년 4월 개통되었으며, 완공 이후 신안군 일대의 24시간 육지 연결을 실현하여 주민의 정주여건 개선과 관광·물류 여건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천사대교는 3주탑 4경간을 적용하여 중앙경간의 길이가 2,650m인 세계 최초 다경간 해상 현수교로서, 1,000년 빈도의 태풍에도 안전하고, 고강도 케이블, 고성능 강재, 콘크리트 새들 등 국가 R&D사업으로 개발된 케이블교량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하여 초장대교량 핵심기술 자립화에 이바지하였다.

천사대교의 다경간 해상 현수교는 국내에서 외국기술자의 자문 없이 100% 국내기술로 설계와 시공을 한 교량으로 고부가가치인 해상 장대교량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발전시켰으며 전세계 초장대교량 건설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술력과 브랜드 가치향상에 기여했다는 평이다.

연혁

  • 2010년 7월 착공
  • 2018년 10월 1일 천사대교 명칭 확정
  • 2019년 4월 4일 정식 개통

구조 및 설계

  • 복합 교량 구조
암태도 측 주탑 높이 195m/135m, 주경간 510m, 총연장 1,004m의 2주탑 비대칭 사장교  
압해도 측 주탑 높이 161m/151m, 주경간 650m, 총연장 1,750m의 3주탑 현수교  
양 구간 거더교로 연결되어 전체 7.26km의 복합 연도교를 구성
  • 상징적 디자인 요소
사장교 주탑 ▶◀ 모양 가로보 2개를 적용해 '다이아몬드 제도' 형상화  
현수교 3주탑 4경간 구성으로 W자형 케이블 라인 구성 (West / Wide / Wonderful)
  • 구조 형식
강상판강합성상형교(Steel Box girder Bridge with steel plate deck)
프레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상형교(Prestressed Concret box girder Bridge)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세계 최초 3주탑 4경간 해상 현수교
  • 1,000년 빈도의 태풍에도 안전한 내풍·내진 설계
  • 고강도 케이블, 고성능 강재, 콘크리트 새들 등 국내 R&D 기반 핵심 기술 선제 적용
  • 설계부터 시공까지 100% 국내기술로 수행 → 외국 기술자 자문 없이 완공
  • 국내 해상 장대교량 기술 자립 실현 + 세계 초장대교량 시장 진출 기반 마련

지역개발 효과

  • 신안군 주요 섬들(암태, 자은, 안좌, 팔금 등)과 육지를 상시 연결
  • 연륙 전 대비 이동시간 대폭 단축 (1시간 이상 → 10~15분 내외)
  • 관광객 유입 증가 및 연도교 사업 연계 촉진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수상명 : 우수상
  • 기업명 : (주)다산컨설턴트
  • 대표자 : 이해경
  • 발주처 :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준공일 : 2019년 4월
  • 현장소재지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면 송공리
  • 프로젝트 개요 : 세계 최초 다경간 해상 현수교를 100% 국내 기술로 설계·시공. 고부가가치 초장대 해상교량 기술의 자립 및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기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