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명령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차이 없음)
|
2025년 7월 7일 (월) 02:13 기준 최신판
![]() | |
공항종별 | 민간 |
---|---|
시간기준 | UTC+09:00 |
운영시간 | 24시간 |
소유기관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운영기관 | 인천국제공항공사 |
개항일 | 2001년 03월 29일 |
위치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로 272 |
해발고도 | 7m/23ft |
좌표 | 북위 37° 27′ 45″ / 동경 126° 26′ 21″ |
이용 여객 | 56,131,064 명 |
운항 횟수 | 337,299 회 |
처리 화물 | 2,744,136 톤 |
제1활주로 | 15R/33L ( 3,750m × 60m ) |
제2활주로 | 15L/33R ( 3,750m × 60m ) |
제3활주로 | 16L/34R ( 4,000m × 60m ) |
제4활주로 | 16R/34L ( 3,750m × 60m ) |
제5활주로 | 건설 예정( 3,400m × 60m ) |
설계사 | 유신코퍼레이션, 벡텔(기본설계) |
시공사 | 현대건설, 대림산업, 삼성물산, 대우건설, 포스코건설 등 컨소시엄 |
감리사 | 일본 조다이 컨소시엄 (유신코퍼레이션, 삼안기술공사 포함) |
발주기관 | 인천국제공항공사 |
소관 정부부처 | 국토교통부 |
개요
인천국제공항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표적 국제공항으로, 수도권 신공항건설촉진법에 따라 2001년 3월 29일 개항하였다. 김포국제공항의 국제선 기능을 대체하며, 대한민국의 주요 국제 항공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세계 유수의 허브공항으로 성장하였으며, 국제 여객·화물 처리 기준 세계 상위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명칭과 위치
공식 명칭은 인천국제공항(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ATA: ICN, ICAO: RKSI)이다. 외국에서는 종종 Seoul-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또는 Seoul Airport로 표기되며, 이는 공항의 실질적 기능이 수도권 관문 역할임을 반영한 것이다. 공항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하나, 대외적으로는 '서울' 브랜드와 함께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개발 배경 및 역사
인천국제공항은 서울의 기존 김포국제공항의 포화 문제를 해결하고, 아시아 허브공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01년 개항 이후 지속적인 확장을 거쳐 현재 제1터미널, 제2터미널, 탑승동, 활주로 4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5단계 확장을 통해 총 5본의 활주로와 3개 여객터미널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비행장분류
주요 특징
- 영종도 일대 간척사업을 통해 건설된 대규모 공항
- 스카이트랙스 선정 세계 상위 공항으로 지속 랭크
- ASQ(세계공항서비스평가)에서 12년 연속 1위 수상 경력
- 허브 항공사: 대한항공,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등 다수
- 외항사 허브지정: 델타항공, 페덱스 등
- 24시간 운영 (커퓨 없음)
- 세계 3위 국제선 여객 공항 (2024년 기준)
- 세계 2~3위 화물 공항 (2021년 기준)
활주로
여객터미널 및 운항 노선
- 제1터미널: 아시아나항공, 스타얼라이언스, 기타 외항사
- 제2터미널: 대한항공, 진에어, 스카이팀 항공사 중심
- 탑승동: 저비용 항공사(LCC), 일부 외항사
- 환승 허브 기능이 강하며 미주~아시아 노선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됨
교통 및 연계 인프라
- 철도: 공항철도(AREX) 직통 및 일반열차, KTX 일부 운행(폐지됨)
- 도로: 인천대교, 영종대교로 수도권과 연계
- 버스: 전국 주요 도시와 리무진 연결망 구축
- 주차: 장·단기 주차장 및 셔틀 운영
시설 및 운영
- 셔틀트레인: 탑승동과 제1터미널 간 연결
- 자동출입국심사, 스마트패스 등 비대면 출입국 시스템 강화
- 보안/방역: 공항경찰대, 보안요원, 군사 보호구역 지정
- 항행 시설: ILS, 계기착륙장치, 레이더 시스템 등
경영 및 운영 성과
- 연간 이용객 7천만 명 수준 회복 중 (2024년 기준)
- 화물 처리량 연간 250만 톤 이상
- 지속적 확장사업(4단계 완료, 5단계 예정)
- 민영화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공공성 유지
기타 사항
- 24시간 개방으로 인한 노숙자·장기 체류 문제 있음
- 각종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대중문화 배경지로 자주 등장
- 주변국(중국, 일본, 동남아)과의 연결성 강화, 포커스 시티 역할
- 연예인 전용 통로 논란 등 공공성·형평성 관련 이슈 경험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미
- 해상 간척을 기반으로 한 국내 최대 규모 공항 인프라 사례
- 복합 교통망(철도-도로-항공) 통합 허브로서의 대표 사례
- 5단계 장기 마스터플랜을 통해 예측된 항공수요에 따른 지속적 확장
- 대형 복합공항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관점에서 세계적 벤치마크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