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 발전방식 =
| 발전방식 =
| 원자로 종류 =
| 원자로 종류 =
| 연간 발전량 =  
| 연간 발전량 =
| 설계수명 =  
| 설계수명 =
| 대표설비 = 질소 공급 패키지 (Unit 323)
| 대표설비 = 질소 공급 패키지 (Unit 323)
| 기술적 특징 = 내륙국 장비 수송, 고난도 시공, 통합형 가스처리 인프라 구축
| 기술적 특징 = 내륙국 장비 수송, 고난도 시공, 통합형 가스처리 인프라 구축
| 수상내역 = 2024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대상
| 수상내역 = 2024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대상
| 소관 정부부처 =  
| 소관 정부부처 =
}}
}}



2025년 7월 11일 (금) 02:33 기준 최신판

우즈베키스탄 칸딤 가스처리시설
칸딤 가스처리시설 전경 (현대엔지니어링 제공)
위치 우즈베키스탄 부하라주 또는 카슈카다리야주
발주처 루코일(LUKOIL, 러시아 석유기업)
설계사 현대엔지니어링㈜
사업비 약 30억 4천만 달러
준공일 2021년 12월 26일
수행범위 FEED(기본설계) ~ EPC(설계·조달·시공) ~ 시운전
대표설비 질소 공급 패키지 (Unit 323)
기술적 특징 내륙국 장비 수송, 고난도 시공, 통합형 가스처리 인프라 구축
수상내역 2024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대상



개요

칸딤 가스처리시설(Kandym Gas Processing Plant)은 현대엔지니어링현대건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수행한 대규모 해외 플랜트 프로젝트이다. 우즈베키스탄 부하라주 일대 천연가스전을 개발하기 위해 러시아 루코일(LUKOIL)이 발주했으며, 총 사업비는 약 30억 4천만 달러에 달한다.

설계부터 시공, 시운전까지 EPC 전 공정을 국내 엔지니어링사가 독자 수행한 사례로, 대한민국 플랜트 산업의 기술력과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세계 시장에 입증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개발 배경 및 목적

  • 우즈베키스탄의 천연가스 자원 개발 및 에너지 자립 인프라 구축
  • GTL(가스-액체 전환) 산업 기반 조성
  • 중앙아시아 오일&가스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교두보 확보
  • 국내 EPC 기술력의 글로벌 확산 및 플랜트 수출 증대

주요 특징

  • 초대형 가스처리 설비

연간 81억㎥ 천연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세계적 규모의 플랜트로, 우즈베키스탄의 에너지 수출 확대에 기여

  • GTL 산업 기반 인프라

연간 150만 톤 규모의 GTL 연료 생산에 필요한 원료를 공급하는 역할 수행

  • 고난도 물류 극복

이중내륙국 지형, 24,000km 운송 거리, 4~5개국 국경 통과 등 극한 물류 조건에서 초대형 설비 반입 성공

  • 통합형 인프라 개발

플랜트뿐만 아니라 도로, 철도, 전력, 통신, 방재, 캠프 등 현장 전체를 통합 설계·조성

  • 고도의 프로젝트 관리

총 공사기간 44개월, 5개월 조기 준공. 공정률·품질·안전 분야에서 국제 기준 상회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오일&가스 EPC 전 공정 독자 수행 사례
  • 중앙아시아 내 한국 플랜트 기술력 확산
  • 초대형 가스 플랜트 + 국가 기반 인프라 복합형 프로젝트
  • 엔지니어링 기술, 물류 해법,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역량을 동시에 입증한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