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새 문서: {{ListedcompanyInfobox | 설립 =1966년 1월 17일 | 전신 =유신특수설계공단 | 창업주 =전긍렬(1926~2018) | 대표 =장학성, 박석성, 전경수 | 업종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 기업 분류 =중견기업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상장 시장 =코스피 | 시가총액 =2,566억원(2025년 6월 30일) | 매출액 =3,396억원(2024년 12월) | 영업이익 =58억원(2024년 12월) | 자본금 =150억원 | 자산 총액 =2,935억원 (2024년...
(차이 없음)

2025년 7월 7일 (월) 02:27 판

유신
설립 1966년 1월 17일
전신 유신특수설계공단
창업주 전긍렬(1926~2018)
대표 장학성, 박석성, 전경수
업종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기업 분류 중견기업
상장 여부 상장기업
상장 시장 코스피
시가총액 2,566억원(2025년 6월 30일)
매출액 3,396억원(2024년 12월)
영업이익 58억원(2024년 12월)
자본금 150억원
자산 총액 2,935억원 (2024년 12월)
직원 1,814명
소재지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로5가길24, 4층(신대방동,보라매나산스위트)
웹사이트 https://www.yooshin.com


기업 개요

㈜유신은 1966년 설립된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도로·철도·수자원·상하수도·도시계획·환경·항만·구조 등 인프라 전 분야에 걸쳐 기획, 타당성조사, 설계, 감리, 건설사업관리(PM) 업무를 수행한다. 설계 중심의 순수 컨설팅 엔지니어링 기업으로서, 국내외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에 광범위하게 참여하고 있다.

연혁

- 1966: (주)유신특수설계공단 설립

- 1996: (주)유신코퍼레이션으로 사명 변경

- 2002: 코스닥 상장

- 2010: (주)유신으로 사명 변경

- 2024: 사옥 이전 및 CI 리뉴얼

- 2025: (주)씨이테크 합병

주요 사업 분야

상하수도

- 대전 갑천수계 재이용시설, 부산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등 광역상수도, 정수처리장, 하수고도처리 및 재이용시설 설계 수행

- 서울시 수도관망 관리대행 등 상수도관망 운영 및 물환경 개선사업 추진

수자원

- 홍천강 정비, 창녕 영산지구 종합정비 등 댐, 조절지, 하천정비, 생태하천 복원 설계 수행

- 파주 운정 하수관로 정비 등 홍수방지 및 물순환형 도시계획 관련 사업 추진

도시계획

- 화성 송산그린시티, 오산 세교2지구, 남양주 왕숙신도시 등 신도시, 산업단지, 스마트시티 설계 수행

- 토지이용계획, 도시개발구역 지정, 단지계획 등 도시계획 전 영역에서 사업 추진

교통

- 서울~세종 고속도로, 수도권 제2순환선 등 고속도로, 지하차도, IC·JC, 국도 설계 수행

- GTX-B, 인도네시아 경전철 등 고속철도, 광역철도, 도시철도 및 정거장 설계 추진

환경 등

- 교량·터널 안전진단, 대형구조물 정밀점검 등 구조물 설계 및 유지관리 수행

-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등 환경 관련 기술용역 추진

특징 및 위상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등록 1세대 기업

- 순수 설계·감리 중심의 컨설팅 전문기업

- 도로 및 철도 부문에서 국내 최고 수준 기술력 보유

- ESG 기반의 지속가능경영 및 신사업 다각화 추진 중

조직문화 및 평가

- 기술직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고, 장기근속자 중심의 안정적 조직

- 사내 교육 및 기술연수 인프라 보유

- 윤리경영위원회, 내부신고 시스템 등 내부통제체계 정착

- 조직 고령화와 실무부서 업무과중 이슈 존재

대표 해외 실적

- 인도네시아 경전철 기본 및 실시설계

- 베트남 하노이 하수관로 정비사업

- 몽골 고속도로 타당성조사

- 방글라데시 농업종합개발 타당성조사

- 케냐·캄보디아 등 신흥국 ODA 인프라 사업 수행

기타

㈜유신은 국내 인프라 개발의 역사를 함께한 전통 설계기업으로, EPC보다는 설계와 감리에 특화된 전문성을 갖고 있다. 공공 발주를 기반으로 하되, 최근에는 ESCO, 스마트 인프라, 기계설비 분야 등으로 확장 중이며,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