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명령
새 문서: {{RailwayInfobox | 노선번호 =101 | 노선명 =경부고속철도 | 기점 =서울역 | 종점 =부산역 | 영업거리 =417.5km | 종류 =간선철도, 고속철도 | 궤간 =1,435mm | 역 수 =22개역 |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TVM-430, ERTMS Lv.1(ATP) | 영업 최고속도 =305 km/h | 선로 최고속도 =350 km/h | 선로 수 =2 | 운행개시일 =2024년 04월 01일 (1단계 개통) | 기본계획 기간 =1992.06.30 ~ 19... |
편집 요약 없음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발주기관 =국가철도공단 | | 발주기관 =국가철도공단 | ||
| 소관 정부부처 =국토교통부 | | 소관 정부부처 =국토교통부 | ||
}} | |사진=경부고속철도.jpg}} | ||
== 개요 == | == 개요 == |
2025년 6월 24일 (화) 05:21 판
개요
경부고속철도는 서울특별시 서울역 또는 수서역에서 출발하여 부산광역시 부산역까지 연결되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운행계통이다. 2004년 4월 1일 1차 구간(서울동대구) 개통을 시작으로, 2010년 11월 1일 전 구간(서울부산) 완전 개통되었다. 경부고속선 외에도 경전선, 동해선, 수서평택고속선 등을 연계하여 KTX와 SRT가 함께 운행 중이며, 수도권과 영남권을 직결하는 핵심 교통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명칭과 위치
공식 명칭은 경부고속철도(Gyeongbu High-speed Railway)이며, 서울(京)과 부산(釜)을 잇는 철도 노선을 의미한다. 주요 기점은 서울역과 수서역, 종점은 부산역으로, 대전·대구·울산 등 주요 도시를 경유한다. 일부 열차는 행신역, 마산역, 진주역, 포항역 등을 시·종착점으로 삼는다.
개발 배경 및 역사
경부고속철도의 구상은 1972년부터 시작되었으나 본격 추진은 1989년 국책사업 지정 이후다. 1992년 착공, 프랑스 TGV 기술 도입 결정 후, 2004년 1차 구간 개통(서울동대구) 및 기존 경부선 활용 운행 시작. 이후 2010년 전 구간 개통되며 서울부산 직결 고속열차 운영이 본격화되었다. KTX-산천, KTX-청룡, SRT 등 다양한 차량이 투입되었으며, 지선 개통 및 도시별 수요 확대를 통해 점차 운영구간을 확장하였다.
주요 특징
- 서울~부산 최단 거리 400km 수준, 최고속도 305km/h
- 고속선과 일반선을 병용한 복합 계통 운영
- KTX, KTX-산천, KTX-청룡, SRT 등 총 6종 고속차량 운영
- 수서부산, 서울진주, 서울~포항 등 다수 분기 노선 보유
- 전국 고속철도망의 중심축으로, 호남·전라·강릉선 등 연계 분기 기반 제공
운행 계통 및 정차역
- 본선 정차역: 서울, 광명, 천안아산, 오송, 대전, 김천(구미), 동대구, 경주, 울산, 부산 등
- 분기 계통: 수원경유, 구포경유, 경전선(마산·진주행), 동해선(포항행)
- SRT는 수서부산, 수서진주, 수서~포항 계통으로만 운영
차량 및 기술 사양
- 궤간: 표준궤 1,435mm
- 전력: AC 25,000V 60Hz 가공전차선
- 최대속도: 고속선 305km/h, 일반선 최대 150km/h
- 차량: KTX, KTX-산천(A/B타입), KTX-청룡, SRT(120000/130000호대)
- 차량기지: 행신(고양), 수서, 부산, 마산, 포항 등지에 분산 배치
교통 및 연계 인프라
- KTX/SRT 연계역에 광역철도, 도시철도, 버스터미널 등 위치
- 주요 정차역에 환승센터 및 대중교통 허브 형성
- 항공노선 대체 효과로 내항공 교통수단 분산 유도
수요 및 운송실적
- 서울부산, 서울대구, 서울~대전 구간 중심 수요 집중
- 울산·포항·진주 등 지역 수요도 빠르게 증가
- 연간 고속철도 이용객 수천만 명 이상 (2024년 기준 약 2.5억명 추정)
- 주요 역: 서울, 부산, 대전, 동대구, 울산, 광명, 수서 등 상위권 점유
운영자 및 경영 정보
- 운영기관: 코레일(KTX), SR(SRT)
- 민간자본이 투입된 수서평택고속선 기반 SRT 계통 병행 운행
- 열차 운행간격: 평균 15~20분, 최단 5분 간격으로 지하철 수준 배차 운영
- 열차번호 체계는 KTX 1~400, SRT 3000번대, 임시열차는 4000번대
기타 사항
- 고속선 선로용량 포화 문제(특히 평택~오송 구간)로 추가 노선 필요성 대두
- 울산역, 포항역 등 외곽 신설 역사의 성공적인 수요 확보 사례 존재
- 수서역~부산까지의 소요시간은 최단 2시간 10분대
- 과거 항공편과의 경쟁을 통해 항공시장 구조 변화 유도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미
- 프랑스 TGV 기반으로 출발했으나 현재는 자체 기술력 확보 및 고속차량 국산화 성공
- 고속선 신설과 일반선 고속화 병행으로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 모두 확보
- 평면교차 없는 고속운행 설계, 역간거리 최적화로 전국 고속철도망 중심 역할 수행
- 기존 경부선의 물리적 한계를 보완하며, 복선·복복선 구조 기반의 철도설계 사례로서 국내외 벤치마킹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