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37
70
1
1.1천
Engineering Wiki
길찾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
도움말
엔지니어링 용어
엔지니어링 용어
엔지니어링 기업
엔지니어링 기업
On the wiki
On the wiki
커뮤니티
커뮤니티
엔지니어링 공종
도로
교량
터널
공항
하천
댐
지반
항만
도시계획
철도
조경
환경
전기
기계설비
정보통신
둘러보기
특수 문서 목록
파일 올리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알림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ser-interface-preferences
개인 도구
로그인
보령해저터널 문서 원본 보기
Engineering Wiki
문서 공유하기
보기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associated-pages
문서
토론
다른 명령
←
보령해저터널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RoadInfobox | 사진 = 보령해저터널-1.jpg | 사진설명 = 보령해저터널 전경 | 노선번호 = 국도 제77호선 | 기점 = 충청남도 보령시 산흑동(대천항) | 종점 = 충청남도 태안군 원산도리 | 연장 = 6.927km | 공사기간 = 2012년 4월 ~ 2021년 12월 | 실시설계 = ㈜태조엔지니어링, [[(주)유신]] | 발주기관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 소관 정부부처 = 국토교통부 }} [[파일:보령해저터널(지도).jpg|섬네일|500px|보령해저터널 위치(현대건설)]] [[파일:보령해저터널_단면.jpg|섬네일|500px|보령해저터널 단면(현대건설)]] [[파일:보령해저터널_개통효과.jpg|섬네일|500px|보령해저터널 개통효과(현대건설)]] == 개요 == '''보령해저터널'''은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항(신흑동)과 태안군 원산도를 연결하는 국도 제77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총 연장 6,927m에 달하는 대한민국 최장 해저터널이다. 2012년 4월 착공하여 2019년 6월 10일 관통하였으며, 2021년 12월 1일 오전 10시에 개통되었다. 해당 구간은 전 구간이 "원산대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9년 개통된 [[원산안면대교]](1.75km)와 함께 보령~안면도를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기능하고 있다. 시공은 [[현대건설]]이 담당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해저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을 적용한 사례다. 보령 단층대를 포함한 해저지반을 여섯 가지로 세분화해 맞춤형 보강 설계를 수행하고, 환경훼손 및 사업비 부담을 최소화한 점에서 높은 기술적 의의를 지닌다. == 사업 배경 == 보령~태안 지역은 섬과 내륙 간 단절로 인해 접근성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특히 원산도는 기존에 배편 외에는 접근 수단이 없어 정주 여건이 열악했다. 본 터널은 당초 해상교량으로 추진되었으나, 해양환경 훼손 및 사업비 증가 등의 문제로 무산될 위기에서 해저터널 방식으로 전환 제안되었고, 25년간 지연되던 사업을 현실화시켰다. == 주요 특징 == * '''국내 최장, 세계 5번째 해저 도로터널''' 총 길이 6.927km. 도로 해저터널 기준 세계 5위, 대한민국 최장 해저터널 * '''해저 NATM 공법 국내 최초 적용''' 단층대 통과를 고려한 6개 지반 분류 + 위험도 분석 → 구간별 최적 보강 설계로 무재해 달성 * '''노선 전략성과 환경 조화 고려''' 지질 안전성과 보령화력 연료운반선 항로를 반영하여, 주교면이 아닌 대천항 쪽으로 연결 * '''국가재정 100% 사업 + 통행료 무료''' 민자사업 중심이던 2010년대 인프라 환경에서 드물게 추진된 순수 재정사업 * '''물류 + 관광 + 지역복지 효과 동시 실현''' 대천~안면도 이동시간을 90분 → 10~15분으로 단축. 원산도에 상수도 공급도 가능해짐 == 교통운영 및 안전 == * 제한속도 70km/h, 구간단속 시행 * 대천방향 진출 시 회전교차로 및 어린이보호구역 존재 * 원산도 방향은 수심 80m 구간을 포함한 급경사 구간 존재 → 감속 주의 필요 == 지역 맥락 및 사회적 의미 == * '''25년간 지연된 사업의 현실화''' 원산도 주민 숙원 해결 * 전 국무총리 이완구 전 충남지사의 역점 추진 사업 * 상수도·관광·물류 연결 + 서해안 벨트화 핵심 축 * 보령해저터널 홍보관 주변 철제 구조물에 서식하는 새호리기(猛禽類)로도 유명 ==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 해저터널 설계기준 부재 상태에서 국내외 사례조사로 기준 자립 * 해저 NATM 기술의 본격 적용 → 향후 해저 인프라 사업 기준 제시 * 사업 전환 제안 → 무산 위기 극복 사례 ==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 '''수상명''' : 우수상 * '''참여기업''' : ㈜태조엔지니어링, ㈜유신 * '''대표자''' : 한명식, 박석성 * '''발주처'''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 '''준공일''' : 2021년 12월 11일 * '''현장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산흑동 ~ 태안군 원산도리 * '''프로젝트 개요''' : 국내 최장 해저터널, 해저 NATM 최초 적용, 지역 연결성과 해양환경 조화의 대표사례 == 같이 보기 == * [[해저터널]]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태조엔지니어링]] * [[㈜유신]] [[분류:도로]]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RoadInfobox
(
원본 보기
)
보령해저터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