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37
70
1
1.1천
Engineering Wiki
길찾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
도움말
엔지니어링 용어
엔지니어링 용어
엔지니어링 기업
엔지니어링 기업
On the wiki
On the wiki
커뮤니티
커뮤니티
엔지니어링 공종
도로
교량
터널
공항
하천
댐
지반
항만
도시계획
철도
조경
환경
전기
기계설비
정보통신
둘러보기
특수 문서 목록
파일 올리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알림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ser-interface-preferences
개인 도구
로그인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문서 원본 보기
Engineering Wiki
문서 공유하기
보기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associated-pages
문서
토론
다른 명령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RoadInfobox | 노선번호 = 100번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514-80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419-6 (판교JC) | 연장 = 128.02km | 기본계획 기간 = 1988.10.01 ~ 1991.07.24 | 기본설계 기간 = 1991.07.25 ~ 1992.12.09 | 실시설계 기간 = 1992.12.10 ~ 1994.06.30 | 공사기간 = 1994.07.01 ~ 2007.12.20 | 타당성조사 = 확인 필요 | 기본계획 = 확인 필요 | 기본설계 = 확인 필요 | 실시설계 = 확인 필요 | 시공사 = 현대건설, 대림산업, 삼성물산, 대우건설 등 | 감리사 = [[도화엔지니어링]], [[유신]], [[한국종합기술]] 등 | 발주기관 = [[한국도로공사]] | 소관 정부부처 = 국토교통부 | 사진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jpg }} == 개요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JC에서 시작하여 수도권 외곽을 순환하는 고속도로로, 총 연장은 약 128km이다. 수도권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물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1988년부터 계획되었으며, 구간별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본 고속도로는 수도권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는 간선 축으로 기능한다. == 명칭 변경 == 기존 명칭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였으나, 서울을 직접 통과하지 않고 수도권 전체를 연결하는 순환축의 특성을 반영하여 2020년 9월 1일자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공식 변경되었다. == 개발 배경 및 역사 == * 1988년: 기본계획 수립 착수 * 1991~1994년: 기본 및 실시설계 수행 * 1994년 7월: 공사 착공 * 1996~2007년: 구간별 순차 개통 * 2007년 12월 28일: 부천~시흥 구간 개통으로 전체 구간 완전 연결 == 주요 특징 == * 수도권 외곽을 순환하는 유일한 고속도로 * 서울 진입 차량의 우회 기능 수행 * 물류 단지 및 산업단지와의 연계성 우수 * 일부 구간 지하화 및 방음터널 설치 * 스마트톨링 등 ITS 기반 시스템 적용 == 주요 경유지 및 연계 노선 == * 경유지: 성남 – 하남 – 구리 – 의정부 – 고양 – 김포 – 부천 – 시흥 – 안산 – 군포 – 안양 * 연결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등 == 시설 및 교통 == * 전 구간 유료도로 * 차로 수: 4~10차로 (구간별 상이) * 운영기관: 한국도로공사 * 휴게소 및 요금소 설치 * 지능형교통체계(ITS) 도입 == 운영 성과 == * 하루 평균 통행량: 약 40~50만 대 * 수도권 물류 및 통근 수요 핵심 루트로 기능 * 구간별 혼잡도 및 개선사업 지속 진행 == 기술적 의의 == * 수도권 순환형 교통축 실현 * 복잡한 도시 경계 및 기존 인프라와의 연계를 고려한 복합설계 * 도시형 고속도로 설계, 방음시설, 지하화 등 고난도 기술 적용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RoadInfobox
(
원본 보기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