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닫기
검색
메뉴 여닫기
37
70
1
1.1천
Engineering Wiki
길찾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
도움말
엔지니어링 용어
엔지니어링 용어
엔지니어링 기업
엔지니어링 기업
On the wiki
On the wiki
커뮤니티
커뮤니티
엔지니어링 공종
도로
교량
터널
공항
하천
댐
지반
항만
도시계획
철도
조경
환경
전기
기계설비
정보통신
둘러보기
특수 문서 목록
파일 올리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알림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user-interface-preferences
개인 도구
로그인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문서 원본 보기
Engineering Wiki
문서 공유하기
보기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associated-pages
문서
토론
다른 명령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RoadInfobox | 노선번호 =100번 | 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514-80 | 종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419-6 (판교JC) | 연장 =128.02km | 기본계획 기간 =1988.10.01 ~ 1991.07.24 | 기본설계 기간 =1991.07.25 ~ 1992.12.09 | 실시설계 기간 =1992.12.10 ~ 1994.06.30 | 공사기간 =1994.07.01 ~ 2007.12.20 | 타당성조사 =확인 필요 | 기본계획 =확인 필요 | 기본설계 =확인 필요 | 실시설계 =확인 필요 | 시공사 =현대건설, 대림산업, 삼성물산, 대우건설 등 | 감리사 =도화엔지니어링, 유신, 한국종합기술 등 | 발주기관 =한국도로공사 | 소관 정부부처 =국토교통부 |사진=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jpg}} == 개요 == 경부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강남구부터 부산광역시 북구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간선 고속도로로, 총 연장은 약 416.1km이다. 1970년 7월 7일 개통되었으며,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국책사업으로 추진된 국가 기간 인프라의 상징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도로이며, 이후 전국 고속도로망 구축의 기초가 되었다. 물류·통행량 기준 전국 최고 수준의 교통량을 담당하고 있다. == 명칭과 위치 == 공식 명칭은 경부고속도로(Gyeongbu Expressway, 고속국도 제1호선)이며, ‘경(京, 서울)’과 ‘부(釜, 부산)’의 앞글자를 따서 이름 지어졌다. 북단은 서울 강남구 양재동, 남단은 부산 북구 덕천동이며, 주요 경유지는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등이다. == 개발 배경 및 역사 == 1960년대 말 산업화 추진을 위한 국가 기간 인프라의 필요성에 따라 경부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1968년 2월 착공, 1970년 7월 7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총 건설기간은 약 2년 5개월에 불과하다. 당시 총공사비는 약 430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기술력 부족과 자재 조달 문제를 극복한 대표적 엔지니어링 사례로 평가된다. 이후 지속적인 확·포장 및 인터체인지(IC) 신설이 이뤄져 현재는 왕복 4~10차로로 운영된다. == 주요 특징 == -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도로 - 수도권과 영남권을 직결하는 핵심 물류축 - 대다수의 산업단지·내륙 컨테이너 터미널과 연계 - 10차로 확장 구간(서울~오산 등), 복층 구조 도입 - 한국도로공사 관리, 전 구간 유료도로 - 연간 교통량 약 1억 대 이상 (2024년 기준) == 구간 및 연계 노선 == - 주요 경유지: 서울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 주요 연계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등 - 고속철도(KTX) 경부선과 병행구간 다수 존재 - 일반국도 및 지방도와의 입체교차(IC, JCT 포함) == 교통 및 물류 기능 == - 전국 물류의 약 50% 이상이 통과하는 핵심 루트 - 고속·시외버스 노선의 주축 - 화물차 통행량 전국 최고 수준 - 수도권~영남권 산업벨트를 연계하는 주간선 도로망 == 시설 및 운영 == - 차로 수: 왕복 4~10차로(구간별 상이) - 톨게이트(요금소): 서울TG, 부산TG 등 주요 지점 존재 - 휴게소: 경산·옥산·안성·죽암 등 전국 최대 규모 - TS(지능형교통체계) 도입: 실시간 교통정보, 전광판, 자동감지 시스템 운영 - 서비스에리어(주유소, 음식점, 주차장, 졸음쉼터 등) 완비 == 통행 및 안전관리 == - 최고 속도: 100~110km/h (구간별 차등 적용) - 과속단속, 졸음운전 방지, 차로이탈 방지 등 첨단 안전설비 다수 - 교통사고 다발구간에는 방지시설 및 순찰강화 == 운영 성과 및 통계 == - 연간 통행량: 약 1억 2천만 대 이상(2024년 기준) - 물동량: 전체 국내 화물 수송량의 상당 비율 담당 - 유지관리비 및 보수공사 지속 집행(아스팔트 재포장, 방음터널 신설 등) - 2023년 기준, 이용자 만족도 전국 고속도로 1위 == 기타 사항 == - 추석, 설 연휴 시 교통 정체의 상징 구간 - 사회적 상징성 큼: '경제개발의 혈맥'으로 불림 - 전국 고속도로망의 근간을 이룬 역사적 인프라 - 주변 지역 개발을 촉진한 대표적 사례(수원, 천안, 대전 등) ==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미 == - 대한민국 토목기술의 상징적 출발점 - 세계 최단기간 고속도로 건설(2년 5개월) - 간선 교통축과 지역 균형개발을 동시 실현한 국가 전략 인프라 - 지속적 확장과 보수 과정에서 차세대 포장기술, 구조물 보강, ITS 기술 등 도입 - 설계-시공-운영에 걸친 전 생애주기적 교통 인프라 모델 사례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RoadInfobox
(
원본 보기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문서로 돌아갑니다.